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론이란

by 복지쏙쏙 2022. 6. 9.
728x90
반응형

상징적 상호작용주의론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에 의하면 사회는

어떤 일정집단이 어떤 시기의 상황이나 조건에 대하여

동의하는 공통적인 의미를 부여하여 만들고

임시적으로 유지하는 조직으로 본다(Turner, 1991; 최일섭 외, 2008, 재인용).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입장에서는 사회문제는

그 시기의 그 상황에서 사회 의 구성원들이 어떤 현상에 대하여

의미를 부여하느냐에 따라 규정된다.

 

즉, 다시 말해서 이 시각에 의한 사회문제는

사회의 주요한 한 집단이 어 떤 현상을

문제라고 정의하면 문제가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같은 현상이 라도 시기와 상황에 따라 사회문제로 정의되기도 하고

그렇지 않기도 하다(최일섭 외, 2008).

이에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에서는

인간의 언어 나 몸짓 하나하나가 상징적 도구가 되며

객관적 의미보다는 주관적 의미의 경험이나 행동들이

주관적 사고를 하는데 있어 주요한 기틀이 된다.

 

여기서 주관적 사고는 개인마다 각기 다른 취향에 따른

주관적 사고가 아니면 개인이 속한 집단이나 사회,

세대간 공통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주관 적 사고를 말한다.

 

주관적 사고는 집단 간, 사회 간, 세대 간 다르게 생각되어 질 수 있으며

만약 집단 간에 의미가 다르고 서로 동의할 수 없을 때

사회문제로 대두되게 되는 것이다(서경원, 2008).

 

상징적 상호작용론 에서 사람들은

타인과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자기가 어떤 사람이라는 것을 알아간다.

타인들이 자기를 대하는 몸짓이나 행동을 해석하고

자신을 다른 사람의 입장에 두어 봄으로써

다른 사람들이 자신을 보는 방법으로 자신을 보는 것이다(신옥순, 1994).

 

상징적 상호작용주의의 시각에 의하면

사회의 주요 집단이 노인을 늙고 병들고 가난하고 외롭고

의존적이고 쓸모없는 사람으로 보게 될 때 노인문제가 있다고 판단하며,

 

이러한 부정적 인 의미부여로

노인은 문제가 많은 사람으로 여겨진다.

 

노인을 이렇게 극 단적인 측면으로만 이해함으로써

노인 스스로도 노인을 가정과 사회에서 고립되고 쓸모없는 존재로

낙인찍고 이러한 스스로의 낙인은 노인을 더욱 더 무능하고

수동적이고 소극적인 존재로 만들게 된다.

 

따라서 노인문제 의 원인은 사회적인 낙인에 따라

행동하는 노인 개인에게도 있지만 더욱 더 큰 원인은

일차적으로는 노인을 낙인찍는 사회제도나

사회의 일반적 인식이 잘못된 데 있다고 할 수 있다(최일섭 외, 2008).

 

이처럼 노인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노인문제의 시작이며 이를 심화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는 노인들에게는 부정적 존재로 인식되고,

이 현상에 익숙한 타 세 대들이 갖게 되는 노인에 대한 인식은

대물림되기 쉬워져 노인복지 및 문 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출처 : 최원희, 노인 이미지에 대한 인식 연구_이삼십대를 중심으로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