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년기 고독감에 관한 이론적 관점(1)

by 복지쏙쏙 2022. 5. 25.
728x90
반응형

노년기에 나타나는 고독감은

특히 그 원인이나 특성이 다른 세대와는 다르다.

 

그 이유는 노인들이 경험하는 고독감은 일시적인 것이 아니고

대부분 만성적인 것이며 신체적인 노화로 인한

활동 제약이나 건강문제, 배우자 사별, 경제적 궁핍 등

 

나이의 증가와 함께 나타나는 고독에 대한 취약성으로

다른 세대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문제들과는 다르기 때문에

다른 세대의 고독감과는 다르다는 것이다.

 

특히 고독감의 발생 원인을 상황이나 환경, 그리고 개인적인 특성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고 이러한 배경 하에 발생된

고독감의 원인에 대한 이론적 관점을 몇 가지 제시해보고자 한다.

1) 정신역동적 관점

 

Sullivan은 성인의 고독의 뿌리를 아동기에서 찾고 있다.

그는 인간에게는 친밀감을 추구하려는 기본적인 욕구가 있다고 했다.

 

이런 친밀감에 대한 욕구는 유아기에 접촉에 대한 열망으로

청소년기에는 친밀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대상인

친구를 필요로 하는 양상으로 나타난다.

 

아동기에는 부모와의 상호작용에 문제가 있어서

사회적 기술을 제대로 발달시키지 못한 청소년들은

마음을 터놓을 수 있는 따뜻한 친구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박선희는 청소년기에 친밀감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면

고독감이 생긴다고 했다.

 

정신역동적 관점은 임상적 관점에서

살펴본 관점이기 때문에 이때의 고독은 병으로 간주된다.

 

정신역동적 관점에서는 고독의 기원을

어린시절 아동기에서 찾았으며 생의 초기에 경험하는 좋지 않은 사건들로 인해

대인관계가 어렵기도 하지만 그 핵심은 개인 내에 있다고 주장하는 관점이다.

 

Erikson의 이론 중 심리 사회학적 발달이론에서

노년기의 조화로운 발달의 핵심으로

자아통합 대 절망이라는 위기 해결능력을 언급하고 있다.

 

노인들은 생의 마지막 위기 속에서 그들에게 접근해 오는 죽음을

수용하기 위해 자신의 지금까지의 인생을 수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Erikson이 말하는 자아통합은 성격의 통일을 의미하며

모든 관점에서 자신의 인생을 돌이켜 보고 겸허하지만 확고하게

‘나는 만족스럽다’라고 확신하는 능력에서 생기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아통합을 이룬 사람은 더 큰 사회적 질서,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속에서 인생의 의미와 질서감을 획득한다.

 

자아통합에 실패하거나 결핍되면 죽음에 대한 공포감과 인생이

너무 짧다는 느낌을 갖게 되고 다시 시작하거나 통합을 시도하기에는

너무 늦었다고 생각해 자신의 지나온 인생을 후회와 실망으로 고찰하며 절망한다.

 

자아통합에 실패한 노인들은 정신적인 병리,

즉 고독감, 우울감 등에 쉽게 빠지기 쉬워진다.

 

따라서 노년기의 과제로 제시되고 있는 Erikson의 자아통합개념은

본 연구에서 조사하고자하는 영적안녕 및 미래전망과도 관련지을 수 있다.

 

즉 노년기에 자신의 삶을 되돌아보고 성취감과 죽음을 수용하며

젊은 세대를 통해 계속된다는 지혜와 자신의 이제까지의 삶을 심사숙고해서

이루어지는 긍정적 수용은 노인들에게 필요한 임상병리학적 요소가 될 수 있다.

 

특히 독거노인의 경우 사회적 지지체계의 부재로

이러한 정신적인 문제에 노출되기 쉬운 대상이기 때문에

그들의 고독감을 정신적, 심리적 병리학적으로 보는 관점이다.

2) 현상학적 관점

 

Rogers의 고독감에 대한 분석은

성격에 대한 자기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

 

그는 사회가 개인으로 하여금 제한적이고 사회적으로 승인 받는 방식으로

행동하도록 압력을 가한다고 보고 있다.

 

이런 압력으로 인해 진정한 내적인 자기와 타인들에게

보여지는 자기 사이에 불일치가 생겨나며 자기 역할을 수행하는 것과는 상관없이

사회적인 역할만을 수행하는 것은 공허감 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Rogers(1973)는 진정한 자기가 타인들로부터 사랑을 받을 수 없으며

신념이 사람들을 진정한 자기와 직면하지 못하게 하고

고독의 울타리 속에 가두어 둔다고 했다.

 

Rogers의 견해에 기초해서 이후의 연구들에서는

실제 자기와 이상적인 자기 사이의 불일치가 고독감을 만들어 낸다고 하였고

이런 이론들을 지지하는 실증적인 연구결과를 얻었는데

그것이 바로 현상학적 이론이다.

 

 이 현상학적 관점은 정신역동적 관점과 임상적 관찰이라는 점에서

유사하나 정신역동이론과 다른 점은 고독에 대한 아동기의 영향력을 강조하지 않고

현재의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강조하고 있다.

 

따라서 고독감이 발생되는 원인을 예전부터 학습되고

축적된 정신적인 문제가 아니라 독거노인에게 현재 발생된

사별, 실직, 경제적 어려움, 건강상의 문제 등이

고독감을 발생시키는 원인으로 보는 관점이다.

 

 

 

 출처 : 이주완, 독거노인의 고독감 감소를 위한 긍정심리학 상담프로그램의 적용 효과

 

 

728x90
반응형

댓글